네이버가 한국어 기반 초대규모 인공지능(AI) ‘하이퍼클로바(HyperCLOVA)'를 전격 공개했다. 국내 기업 간 초대규모 인공지능(AI) 개발 경쟁이 한창인 가운데 가장 먼저 개발 성과를 공유한 것.
네이버(대표 한성숙)는 25일 개최한 ‘NAVER AI NOW’ 온라인 컨퍼런스에서 자체 개발한 한국어판 GPT-3 하이퍼클로바 개발 성과를 공식 발표했다.
영어 이외 언어 활용이 어려운 오픈AI GPT-3와 달리 한국어에 특화된 것이 하이퍼클로바의 차별점이다. 하이퍼클로바가 학습한 한국어 데이터 규모는 5600억 토큰으로 GPT-3보다 무려 6500배 크다. GPT-3가 학습한 언어 중 영어가 93%를 차지한다면, 하이퍼클로바에서는 학습 언어 97%가 한국어다.
모델 크기에서도 국산 AI가 GPT-3를 추월했다. 하이퍼클로바의 파라미터(매개변수)는 2040억개로 GPT-3의 1750억개를 넘어선다.
반년이라는 짧은 시간 내 초대규모 AI를 개발할 수 있었던 비결은 비지도학습이라는 AI학습법에 있다. 해당 기술 도입으로 AI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를 일일이 개발자가 만들 필요가 없어지면서 단기간 내 대규모 데이터 학습이 가능해졌다.
대규모 AI 개발에 필수적인 슈퍼컴퓨팅 인프라로는 지난해 10월 도입한 ‘엔비디아 DGX 슈퍼팟(SuperPod)’을 사용했다. 해당 제품 성능은 700페타플롭스(PF)로 국내 기업이 현재 사용 중인 컴퓨팅 인프라 가운데 가장 뛰어나다.
하이퍼클로바 기술은 연구 영역에만 머물지 않고 빠르게 상용화될 것으로 보인다. 네이버는 하이퍼클로바를 적용한 10개 서비스를 빠른 시일 내 발표할 계획이다.
상용화 사례는 하이퍼클로바 공개 전 이미 밝혀진 바 있다. 이달 6일 네이버는 검색 서비스에 하이퍼클로바를 적용해 새로운 기능을 선보였다. 해당 기능에서는 사용자가 검색어를 잘못 입력하는 경우 올바른 단어로 전환하거나 적절한 검색어를 추천해준다.
AI 개발자 이외 AI를 잘 알지 못하는 일반인을 하이퍼클로바 사용자로 강조한 점도 주목할 만하다. 상품 판매에 도움이 되는 마케팅 문구를 AI가 자동 생성해 중소사업자(SME)를 도울 수 있다. 학생들을 위해 공부 내용을 빠르게 요약해주고 질문에 답변해주는 AI도 개발 가능하다.
출처 http://www.a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38690